티스토리 뷰


에티튜드 뜻이 뭘까 에띠튜드 하게 알아볼까요?


영화, 드라마에서 우리는 까금 에티튜드 라는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

극중 의미상으로는 예의라는 정도로 해석이 되긴 하는데 정확한 의미를 알고 넘어가는게 좋겠지요?



attitude 

① 태도 ② (행위·감정 등이 나타난) 자세 ③ (격식) 억지스러운 태도 ④ 몸가짐


태도나 자세, 격식을 차린 태도, 몸가짐 등등의 뜻으로 나옵니다.

뭐 대충 제가 극중에서 해석했던 것이랑 맞다고 봅니다.


에띠튜드 어떨때 어떻게 사용해하는 단어인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공공장소나 또는 식사중 아이의 태도가 좋지않고 삐딱할 경우 태도가 그게 뭐야? 라는 의미로 쓸 수 있습니다.

물론 많은 분들이 에티튜드가 아니라 에티켓이 되어야 하는거 아니야? 하실 수도 있지만 

미국에서는 에티켓은 거의 쓰지 않고 에티튜드라는 단어를 더 많이 쓴다고 합니다.

또 다른때는 반어법식으로 넌 보기와 다르게 애티튜드가 없구나 이런 식으로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에티튜드 는 외국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많이 나오는 표현이지만 실제 우리생활에서는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에티튜드 라는 의미에 대해서는 많이 사용합니다. 예의, 태도 라는 부분에서보면 많이 이용될 수 있는 단어입니다.

실제로 영어권 국가에서는 많이 이용하는 단어라고 합니다.

그래서 미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심심치않게 이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들리는 몇게 안되는 단어중에 하나라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말이지요.


에티튜드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패션에 관련된 부분에 많이 나오기도 합니다.

예전에 봤던 가쉽걸에서 에티튜드라는 단어가 많이 나왔습니다.

격식에 맞는 옷이나 차림세를 의미하는 단어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장소에 맞는 격식에 맞는 에티튜드가 중요하다는 식으로 교육이나 교정을 해주는 장면들이 많이 나옵니다.


가쉽걸은 아이들이 모여서 하는 파티도 많이 나오지만 격식있는 분위기의 파티장면들도 많이 나옵니다.

그때마다 배우들은 옷을 바꿔입으며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곤 했습니다.

천방지축 날뛰던 사람들도 격식을 갖춘 에티튜드 한 옷을 입고 행동또한 애티튜드하게 합니다.

패션쇼와 유사한 장면에서도 애티튜드라는 단어는 빠지지 않고 등장했습니다.


추가로 에티튜드에 대한 이야기를 좀더 하자면 에티튜드는 1980년대부터 생활양식으로 쓰는 움직임이 일어났다고 합니다. 

뉴욕의 시크 피플이라 불리는 사람들의 감성을 칭했던것으로 보여진다고 합니다.

1960년대는 프로테스트(반항), 1970년대에는 나르시시즘(자기애), 그리고 1980년대에는 애티튜드와 같이 쓰인다고 합니다.



댓글